보안지식

견적문의

Contact Us

  • TMS
    (위협관리시스템)의 정의
    TMS(Threat Management System) 솔루션은 전사적 IT인프라의 위협정보들을 수집·분석·경보·관리하는 정보보호 통합관리 시스템이며 실시간으로 공신력 있는 대외 정보보호기관의 위협정보들을 수집·분석하여 정보보호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각종 보안위협으로부터 사전 대응 및 예·경보 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알려지지 않은 공격들에 대한 조기 대응을 유도하는 시스템입니다
    TMS 필요성
    • 특정 정보 시스템으로 한정된 공격 패턴을 넘어선 전사적 인프라 스트럭쳐에 대한 공격으로 침해 사고 유형의 변화와 위협의 다양성 및 복합, 복잡성이 증가 하고 있기 때문에 관리자의 대응책 판단 곤란(위협 식별 및 우선순위 결정 곤란)으로 인하여 알려지지 않은 공격에 대한 보다 사전적이고 신속한 대응 체계가 필요
    • 이 기종 단위 보안 제품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중복 분석 곤란으로 보다 효과적인 보안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
    • 다양한 공격 유형별 단위 보안 솔루션 도입으로 제한된 인력의 과중한 업무 부담과 소홀한 관리와 운영에 따른 업무 효율성 저하로 Security Hole이 발생
    • 이 기종 보안 솔루션에서 발생되는 False Positive는 관리자로 하여금 보안 경보(Security Warning)에 대한 신뢰도 저하 현상을 일으키는 단위 보안 솔루션의 한계점 발생
    TMS 기능 1) 정보수집 기능
    • 내부정보 수집 : 내부 자산에 대한 위협정보 수집. Agent 정책 할당
    • 외부정보 수집 : 글로벌 취약점 정보, 대응정보, 보안권고 정보 등 예·경보를 위한 글로벌 정보 수집
    2) 정보분석 기능
    • 수집된 내·외부 정보를 상관분석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정보제공
    • 분석된 정보에 대한 대응방안 제시
    • 취약점 및 악성코드 분석
    • 시스템 별 무결성 정보 분석
    • 유해트래픽 분석 및 차단
    • 예·경보 룰 설정 및 Alert 지정
    • 시나리오 수립/적용
    3) 대응 기능
    • 수동적 대응
    • 능동적 대응
    4) 종합상황 관제 기능
    • 위협 레벨
    • 글로벌 침해 유형 및 침해 현황
    • 내부 네트웍 운용·이상 현황
    • 공격명 TOP10 및 블랙리스트
    • 취약성 권고 정보
    • 예·경보 정보 쪾각종 실시간 현황 정보 종합관제
    5) 네트워크 관리
    • 전사적 네트웍 관제 맵
    • 실시간 이상유무 식별
    • 실시간 트래픽 및 Resource 관제
    • 네트웍 트래픽 분석
    TMS 도입효과
    • 단위보안 솔루션의 통합관리를 통한 관리인력 소요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, 정보 보안과 관리 시스템을 구현한다.
    • 전사적인 IT Infra structure 관제를 통한 광범위하면서도 체계적인 위협관리 시스템을 구현한다.
    • 글로벌 침해·유해 정보 분석을 통해 조기·사전 대응 시스템 구축으로 IT 자산을 보호한다.
    • 단위 보안 솔루션, Network Device, System 등 IT Infra Structure 전체에서 수집된 정보 분석을 통해 False Positive가 감소하게 되고 위협 경보의 정확성 및 신뢰도 향상을 가져온다.
    • 국가 사이버 안전센터를 비롯한 공인된 정보보안 기관과의 자료 공유를 통한 침해 정보의 신뢰성을 제공한다.

 

 

개인정보취급방침

x

이메일주소 무단 수집 거부

x